한국 애완동물 시장

한국 애완동물 시장

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3월 21일, "2021 대한민국 반려동물 리포트"를 포함한 국내 다양한 ​​산업에 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. 이 보고서는 연구소가 2020년 12월 18일부터 국내 2,0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.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(최소 1,000가구 이상)를 대상으로 3주간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.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.

2020년 기준, 한국 가정 내 반려동물 비율은 약 25%입니다. 그중 절반은 수도권에 거주합니다. 최근 한국의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 사회는 반려동물과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졌습니다. 보고서에 따르면, 무자녀 가구 또는 1인 가구 비율은 40%에 육박하고, 출산율은 0.01%로 반려동물 수요 증가를 이끌고 있습니다. 2017년부터 2025년까지의 시장 추산에 따르면, 한국의 반려동물 산업은 매년 10%씩 성장해 왔습니다.

반려동물 소유자 측면에서 보고서는 2020년 말 기준 대한민국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604만 가구(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은 1,448만 명)로, 이는 반려동물과 직간접적으로 함께 사는 한국인의 4분의 1에 해당한다고 밝혔습니다. 이러한 반려동물 가족 중 수도권에 거주하는 반려동물 가족은 약 327만 가구입니다. 반려동물 종류별로는 반려견이 80.7%, 반려묘가 25.7%, 관상어가 8.8%, 햄스터가 3.7%, 새가 2.7%, 반려 토끼가 1.4%를 차지했습니다.

반려견 가정은 월 평균 750위안을 지출한다.
스마트 반려동물 용품, 국내 반려동물 사육의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
반려동물 비용 측면에서 보고서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데 사료비, 간식비, 치료비 등 많은 반려동물 비용이 발생한다고 보여줍니다. 반려견만 키우는 한국의 가구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데 드는 평균 월 고정 지출은 13만원입니다. 반려묘의 사육비는 월 평균 10만원으로 비교적 낮은 반면, 반려견과 반려묘를 동시에 키우는 가구는 월 평균 25만원을 사육비로 지출합니다. 계산 후, 한국의 반려견을 키우는 데 드는 평균 월 비용은 약 11만원이고, 반려묘를 키우는 데 드는 평균 비용은 약 7만원입니다.


게시 시간: 2021년 7월 23일